문자열(String) -> 정수(int)로 변환
코드를 작성하다보면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DB에서 가져온 String형 숫자 변수를 이용해 연산을 해야하거나 부등호를 이용해 값을 비교해야할 일이 있다. 이럴때 문자열을 어떻게 정수로 치환 해야하는지 궁금한데 자바에서는 이러한 변환하는 과정을 별도로 작성할 필요없다.
왜냐하면 자바의 표준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기본 메소드가 있기 때문인데 오늘은 바로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해 주는 기본 메소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Integer.valueOf()
먼저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Integer.valueOf() 메소드입니다.
String a = "10";
int b = 10 + Integer.valueOf(a);
System.out.println(b);
결과는..
20
문자열로 10인 변수 a를 Integer.valueOf()를 통해 정수로 변환 후 정수 10에 더하여 20으로 연산이 되었습니다.
2. Integer.parseInt()
다음으로 Integer.parseIn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tring a = "10";
int b = 10 + Integer.parseInt(a);
System.out.println(b);
20
위 결과도 마찬가지로 20이 나왔습니다.
그러면 드시는 생각이 parseInt()와 valueOf() 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일텐데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이 둘의 차이점은 바로 리턴되는 값의 타입이 다릅니다.
parseInt()는 int라는 기본 자료형이 반환되는 반면에 valueOf는 Integer라는 객체가 반환 됩니다.
하지만 JAVA1.5부터는 Autoboxing and Unboxing 으로 인해 valueOf로 Integer 객체를 변환하여도
int 변수에 값을 반환하면 자동으로 형 변환이 일어나기 때문에 사용하실 때 크게 차이점을 안두셔도 될 거 같습니다!
오늘은 문자열에서 정수형으로 타입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다음에 더욱 유익한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자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밍 언어 추천, 어떤 언어를 배워야 할까? (0) | 2023.12.24 |
---|---|
[JAVA] String에서 ==, equals() 차이 (0) | 2023.12.19 |
[JAVA] 자바 버전별 차이점 및 특징 (0) | 2023.07.13 |
이클립스 단축키 모음 (Eclipse Hotkey) (0) | 2023.07.11 |